경남도립미술관서 만나는 현대옻칠예술

경남도립미술관 특별기획전 현대옻칠예술: 겹겹의 시간
경남도립미술관은 2025년 11월 14일부터 2026년 2월 22일까지 1층과 2층 전시실에서 특별기획전 《현대옻칠예술: 겹겹의 시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전통 옻칠 기법이 현대미술의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는 현상을 집중 조명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는 성파 스님, 구은경, 김미숙, 신정은, 유남권, 이수진, 이영실, 정직성 등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한국 옻칠예술가들이다. 특히 1층 전시실은 조계종 종정이자 현대옻칠예술가인 성파 스님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관람객의 깊은 사유를 이끈다.
옻칠문화의 역사적 배경과 예술적 가치
경남 창원 다호리는 한국 옻칠문화의 기원을 밝히는 중요한 유적으로, 기원전 2세기경의 다양한 칠기 유물이 출토되었다. 세형동검의 검집에 남은 옻의 흔적은 옻칠이 단순한 장식이 아닌 방수와 보존, 광택을 위한 실용적 기술임을 보여준다. 권제 기법의 원통형 칠기는 한반도 남부에서 옻칠문화가 자생적으로 발전했음을 증명한다.
옻은 옻나무 수액을 정제해 얻는 천연 재료로, 공기 중 습기와 산소에 반응해 단단히 굳는다. 주성분인 우루시올은 강한 접착력과 내구성을 부여하며, 물과 벌레, 곰팡이로부터 재료를 보호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색이 깊어지고 은은한 광택이 더해지며, 목재, 금속, 도자 등 다양한 재료와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또한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인 특성으로 생활용품과 예술품 제작에 핵심 재료로 자리 잡았다.
전시 구성과 주요 작품
1층 1전시실에서는 성파 종정의 예술세계를 집중 조명한다. 〈유동하는〉 시리즈는 옻과 물의 반발성을 통해 생명과 에너지의 흐름을 시각화하며, 〈태초에〉는 검은 옻 기둥으로 우주의 근원을 상징한다. 〈물속의 달〉은 옻의 투명성과 빛의 반사를 활용해 명상적 체험을 완성한다.
2층 2전시실과 특별전시실에는 정직성, 김미숙, 이영실 작가가 참여해 옻칠예술의 다층적 확장을 보여준다. 정직성은 자개와 옻의 물성을 결합해 추상회화의 경계를 넓히고, 김미숙은 옻의 깊은 질감으로 인간 내면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한다. 이영실은 전통 민화와 옻칠을 결합한 ‘옻칠민화’를 선보여 한국적 미감과 현대적 감성을 조화시킨다.
2층 3전시실에서는 신정은, 이수진, 유남권, 구은경 작가가 참여한다. 신정은은 신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상처와 치유를 탐구하며, 이수진은 삼베 위에 옻칠을 더해 실험적 옻칠화 공간을 창출한다. 유남권은 지태칠 기법을 회화로 발전시켜 시간성과 재료의 감각을 탐색하고, 구은경은 ‘문’과 ‘문 너머의 세계’를 주제로 옻의 깊은 색으로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사유한다.
겹겹의 시간, 옻칠예술의 미학
이번 전시는 전통 공예로 인식되던 옻칠이 현대예술의 조형 언어로 자리 잡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에 쌓인 수많은 옻칠의 층은 작가의 시간과 자연의 변화를 담아내며, 느린 생성 과정 자체가 미학적 가치임을 드러낸다. ‘겹겹의 시간’은 옻칠의 층이 쌓이는 과정이 곧 시간의 흔적이자 예술의 미덕임을 관람객에게 체험하게 한다.
대표 작품 소개
- 성파, 공空, 2024, 옻판에 옻칠, 254×165cm
- 성파, 태초에, 2024, 삼베에 옻칠, 가변설치
- 성파, 유동하는, 2015년경, 한지에 옻칠, 가변설치
- 성파, 물속의 달, 2020, 옻판에 옻칠, 가변설치
- 성파, 꿈-P/0847, 2015년경, 옻판에 옻칠, 81×122cm
- 유남권, 담의 조율, 2025, 한지에 옻칠, 원목 파이프, 무늬목, 자석, 135×102×(5)cm
- 정직성, 202010, 2020, 자개, 나무에 삼베, 옻칠 마감, 120.5×160cm
- 김미숙, 피에타, 2025, 나무에 옻칠, 자개, 금분, 112×162cm
- 구은경, Door - 숨겨진 가능성, 2016, 목재 위에 옻칠, 나전, 96×125cm
- 신정은, 좌절, 2022, 나무캔버스, 토분, 옻칠, 180×60×5cm
- 이수진, 지속의 행위 10, 2025, 협저, 옻칠, 삼베, 자개, 70×70×5cm
- 이영실, 영축선알월오봉도, 2019, 목판에 자개, 난각, 옻칠, 150×500cm
전시장 위치
경남도립미술관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 296에 위치해 있으며, 이번 전시는 1층 1전시실과 2층 2전시실, 특별전시실, 3전시실에서 진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