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농해수위, 호우 피해 현장과 해양쓰레기 점검

도의회 농해수위, 집중호우 피해 현장 점검
경상남도의회 농해양수산위원회는 8월 11일 진주시 집현면에 위치한 고추 재배 비닐하우스를 방문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농업 피해와 복구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위원들은 현장에서 하천 제방 유실로 인해 침수 피해를 입은 0.3헥타르 규모의 비닐하우스를 확인했으며, 난방기, 보온커튼, 개폐기 등 주요 시설이 파손되어 약 4,500만 원의 피해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다.
위원들은 농가주의 어려움을 청취하며 복구 진행 상황을 꼼꼼히 살폈다. 이후 도 서부청사로 이동해 7월 집중호우로 인한 농업, 축산, 기반시설 분야의 피해 및 복구 현황과 함께 해양쓰레기 조치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집중호우 피해 현황과 복구 진행 상황
국가재난관리시스템(8월 9일 기준)에 따르면, 경남 도내 15개 시군에서 농작물 피해가 4,178헥타르에 달하며 약 5만 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기반시설 피해는 13개 시군에서 272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저수지 70곳과 배수장 59곳이 포함되어 있다. 축산 분야에서는 가축 25만 9천 두가 폐사하고 축산시설 130개소가 손상되었다.
복구 작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딸기 시설하우스 525동 중 268동(51%)이 복구를 마쳤으며, 진주 지역은 97.4%의 높은 복구율을 기록했다. 농경지 170헥타르 중 66% 이상이 복구되었고, 축산 폐사 가축 99.9%가 처리 완료되었다. 기반시설은 145개소 중 144개소(99.3%)가 복구를 완료했으며, 산청 율현저수지를 제외한 모든 저수지에서 응급복구가 마무리되었다.
제도 개선과 신속한 지원 강조
농정국 업무보고 후 위원들은 단순 피해 집계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복구와 농가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피해보상 기준의 현실화, 딸기 육묘 재해보험 품목 편입, 피해 규모 확정 후 재난지원금의 신속한 지급 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해양쓰레기 대응 현황
집중호우로 인해 낙동강과 남강을 따라 대량 유입된 해양쓰레기는 도내 6개 시군에서 총 5,355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97%인 5,170톤이 이미 수거 완료되었다.
도는 항포구와 해수욕장 등 주요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굴삭기, 덤프트럭 등 700여 대의 장비와 해양쓰레기 수거선 33척을 투입해 신속한 수거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해양환경지킴이, 기간제 근로자, 민간 용역 등 가용 인력을 총동원하고 있으며, 자연재난 복구비 13억 원을 해양수산부에 신청한 상태다.
지속적인 현장 점검과 의정활동
농해양수산위원회는 7월 이후 산청, 하동, 창녕, 합천, 진주 등 주요 피해지역을 지속적으로 방문하며 현장 중심의 피해 복구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도내 농수산업 현장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의정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위원들은 "일회성 대응이 아니라 상습 유입 지역에 대한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며 "신속한 제거작업을 통해 어업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