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총력

Last Updated :
경남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총력

경남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총력

경상남도는 지난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심의를 거쳐, 3월 21일부터 30일까지 산청과 하동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 피해액을 287억 원으로 확정하고, 총 386억 원의 복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 복구비는 국비 243억 원, 도비 63억 원, 시군비 80억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해 1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이 중 4명이 사망하고 5명이 중상, 5명이 경상을 입었다. 산림 피해는 3,397헥타르에 달하며, 주택 28동, 농축산시설 104건, 농·산림작물 399헥타르가 소실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공공시설 또한 산림시설, 국가유산, 도로, 하천 등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다.

경남도는 사망자 유가족과 부상자에게 구호금과 장례비를 지원하며, 산불 진화 과정에서 희생된 공무원과 진화대원에게는 관련 법령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생활안정 지원책으로는 산불로 전소된 주택에 대해 기존 지원금 2천만 원에서 3천6백만 원에 더해 추가로 6천만 원의 국비 지원금을 지급한다. 이는 정부가 그간 지원했던 최대 금액의 3배에 달하는 규모다.

농작물과 농업시설 피해 복구를 위해 지원 단가를 실거래가 수준으로 현실화하고 지원율도 50%에서 100%로 상향 조정했다. 특히 피해가 심각한 사과, 복숭아, 단감, 체리, 배, 마늘 등 6개 농작물과 밤, 고사리, 조경수, 두릅, 호두, 약용류, 더덕, 떫은감 등 8개 산림작물에 대해 집중 지원한다.

구분현 기준지원 상향·확대비고
농·임산물 현실화율60~70%100%농작물 6종, 임산물 8종
지원율50%100%
가축입식 지원율50%100%
농기계 지원율35%50%
농·축산 시설 지원율35%45%

가축농가에는 가축입식비 지원율을 50%에서 100%로 상향하고, 농기계와 농·축산 시설에 대해서도 각각 35%에서 50%, 45%로 지원율을 높였다.

복구비 총액 386억 원 중 공공시설 복구비는 282억 원, 사유시설 복구비는 104억 원이다. 국비 243억 원과 지방비 143억 원이 투입되며, 지방비 중 도비는 63억 원 규모로 신속한 복구를 위해 47억 원을 우선 편성했다. 조림복구 등 장기 사업은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피해 지역인 산청군과 하동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어 국세 납부 유예, 지방세 기한 연장, 국민연금 납부 예외, 재해복구자금 및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 24가지 혜택을 받는다. 추가로 국민건강보험료 경감, 전기·통신요금 감면 등 12가지 혜택도 제공된다.

공공시설 복구는 국비와 지방비를 투입해 국유림 및 사유림 조림, 산림시설 복구, 지방도로 및 하천 정비, 문화유산 긴급 보수 등을 추진한다. 특히 피해를 입은 두양리 은행나무 문화재는 올해 긴급 보수 예산을 활용해 조속히 복구할 예정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산불 피해지역에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응급복구와 예방사업을 우기 전까지 완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남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총력
경남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총력
경남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총력 | 경남진 : https://gyeongnamzine.com/5777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남진 © gyeongnam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