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신항 북극항로 거점 육성 전략 세미나

경남, 북극항로 거점항만 육성 전략 세미나 개최
경상남도는 12일 경남연구원에서 북극항로 진출과 거점항만 육성 방안을 모색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해양수산부 이전과 북극항로 시대 도래에 따른 해양물류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부산항 신항과 진해신항을 우리나라 해양경제의 중심지이자 북극항로 거점 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세미나에는 북극항로 및 해양물류 분야 전문가 7개 기관과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 오동훈 경남연구원장, 박성호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 박동철 경남도의원, 창원시와 김해시 관련 부서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영산대학교 북극물류연구소 김기태 교수의 발표로 시작되었다. 김 교수는 북극항로의 현재 운항 여건과 지정학적 변수, 우리나라의 북극항로 진출 경과를 상세히 설명하며, 경남도가 추진 중인 진해신항 북극항로 진출 거점 육성의 단계별 준비 방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경남이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소와 쇄빙 선박 건조 경험, 다양한 화물 처리 항만 등 북극항로 진출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음을 강조했다. 다만,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대외적으로는 북극항로 개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내적으로는 지자체별 강점을 최대한 살리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진 전문가 종합토론에서는 진해신항 중심의 전략 항만 육성, 기반 인프라 확충, 물류산업 클러스터 강화, 정부 정책과의 연계 방안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진해신항은 8,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21선석을 수용할 수 있으며, 부산항 신항과 배후단지, 향후 가덕도 신공항과의 연계로 Sea&Air 복합물류 허브로서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국제물류와 해운산업의 운용 효율성과 확장성 측면에서도 글로벌 환적 중심지로서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경남도는 진해신항을 국가 전략 항만으로 지정해 북극항로 진출 거점항만으로서의 선제 대응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북극항로 대응 정책 연구를 바탕으로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하며, 해양수산부의 ‘북극항로 거점항만 조성 전략’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북극 해빙 예측과 항로 전망을 위한 컨트롤타워 구축, 극지 운항 전문인력 교육기관 유치 등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중앙정부, 유관기관,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진해신항을 중심으로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는 해양물류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과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