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지방하천 복구에 200년 빈도 기준 도입

경남도, 지방하천 복구에 200년 빈도 기준 도입
경상남도는 최근 이상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하천 복구사업에 있어 기존의 80년 빈도 설계기준을 전국 최초로 200년 빈도로 상향 조정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홍수 피해가 잦아지는 상황에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경남도 내 지방하천 피해는 14개 시군 295개소에 달하며, 피해액은 1,013억 원에 이른다. 복구비용은 총 5,886억 원으로 확정되었으며, 도는 이 중 약 87%에 해당하는 국비를 확보해 안정적인 재원 마련에 성공했다. 특히 산청, 합천, 진주, 밀양, 의령, 하동, 함양, 거창 등 8개 시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어 신속한 복구가 진행 중이다.
경남도는 양천 등 주요 지방하천에 대해 2026년 상반기까지 토공작업을 완료해 내년 재피해 가능성을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침수 피해가 집중된 취약 취락지 등 주요 구간에는 국가하천에 준하는 200년 빈도 기준의 ‘선택적 홍수방어’ 계획을 수립해 적용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 복구를 넘어 중장기적 수방 대책으로서 지역 안전성을 크게 강화하는 조치다.
양천 하천은 피해가 크고 복구가 시급한 지역으로 도가 직접 사업을 시행하며, 11월 착공해 2026년 6월까지 재피해 우려가 큰 공종을 우선 완료할 방침이다. 기본설계 단계에서부터 사업 발주와 설계기준 강화, 공구 분할 등 신속한 사업 마무리를 위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번 수해복구 공사에 전국 최초로 200년 빈도의 상향된 기준을 적용해 지방하천의 수해예방 기능을 적극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기후위기 시대에 맞춘 혁신적인 재해 대응책으로, 도민 안전 확보에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